테슬라 모델 3 주행 거리별 충전 요금 분석 : 전기차 경제성 있나요?

728x90
반응형

국내 시장에 출시된 테슬라 모델 3는 크게

후륜구동(RWD) 스탠다드 레인지 모델과 사륜구동(AWD) 롱 레인지 모델로 나뉜다. (물론퍼포먼스모델도 있죠)  


모델별 배터리 용량 및 주행 가능 거리

  • 2.1 모델별 배터리 용량 및 주행 가능 거리
    • RWD 스탠다드 레인지:
      약 59.6kWh 용량의 배터리를 탑재하고 있으며, 상온 기준 복합 403km의 주행 거리를 인증받았다 .
      도심 주행 거리는 403km, 고속도로 주행 거리는 357km이며,
      저온 환경에서는 복합 290km로 주행 거리가 감소하는 특징을 보인다 .
      이 모델은 일상적인 시내 주행에 적합한 균형 잡힌 성능을 제공한다.  
       
    • 롱 레인지 AWD
      81.6kWh의 더 큰 용량의 배터리를 장착하여 상온 기준 복합 488km의 주행 거리를 나타낸다 .
      도심 주행 거리는 505km, 고속도로 주행 거리는 466km이며,
      저온에서는 복합 389km의 주행 거리를 가진다 .
      일부 자료에서는 528km의 복합 주행 거리를 제시하기도 하지만 ,
      본 보고서에서는 최신 '하이랜드' 모델의 환경부 인증 자료를 기준으로 한다 .
      롱 레인지 모델은 긴 주행 거리로 인해 장거리 운행에 더 유리하다.  
       
    • 퍼포먼스 모델
      일부 자료에서 언급된 퍼포먼스 모델은 75kWh 배터리 용량에
      복합 주행 거리 480km 또는 499km를 제공한다 .
      하지만 본 보고서의 주요 분석 대상은 스탠다드 레인지와 롱 레인지 모델로 한다.
      퍼포먼스 모델은 주행 성능에 중점을 둔 모델로, 충전 비용 효율성보다는
      다이내믹한 주행 경험을 우선시하는 소비자층을 대상으로 할 수 있다.  
       
  • 2.2 주행 거리 관련 고려 사항:
    • 온도 변화의 영향
      특히 겨울철 저온 환경에서는 배터리 효율이 감소하여 주행 가능 거리가 상당 폭 줄어들 수 있다 .
      스탠다드 레인지 모델의 경우 저온에서 복합 주행 거리가 약 28% 감소하며,
      롱 레인지 모델 역시 약 20%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서울의 겨울철 기온을 고려할 때 실제 운행 환경에서 충전 빈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중요한 요소이다.  
       
    • 실제 주행 환경
      인증된 주행 거리는 특정 조건에서 측정된 값이며,
      실제 주행 시에는 운전 습관, 도로 조건, 차량 부하, 에어컨/히터 사용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급가속, 급제동 등의 운전 습관이나 언덕길 주행, 많은 짐을 싣고 운행하는 경우
      에너지 소비가 증가하여 주행 가능 거리가 줄어들 수 있다.
      따라서 운전자는 자신의 통상적인 운전 패턴을 고려하여 충전 계획을 수립해야 한다.

서울 지역 테슬라 슈퍼차저 이용 비용 및 고려 사항

서울 지역에는 테슬라 차량 소유자를 위한 급속 충전 네트워크인
슈퍼차저가 주요 거점에 설치되어 있어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다 .  

 
  • 3.1 서울 지역 슈퍼차저 위치
    • 강남 그랜드 인터컨티넨탈, 종로 그랑 서울, 여의도 IFC 몰/콘래드 서울 호텔, 잠실 롯데월드타워, 압구정 안다즈 호텔, 성수 디타워, 강서 김포 롯데몰, 강남 N 타워, 용산 그랜드 하얏트 호텔 서울, 중랑, 상암, 고척 아이파크몰, 에피소드 서초, 강동 등 다양한 지역에서 슈퍼차저를 이용할 수 있다 . 이러한 전략적인 위치 선정은 서울 시내 어디든 접근성을 높여 테슬라 운전자에게 편의를 제공한다.  
       
  • 3.2 슈퍼차저 충전 요금:
    • 테슬라 차량 소유자의 경우, 현재 슈퍼차저 충전 요금은 kWh당 339원으로 책정되어 있다 . 이는 이전 요금 대비 인하된 금액으로, 테슬라 운전자에게 더욱 유리한 조건이다.  
       
    • V3 슈퍼차저의 경우, kWh당 요금 외에 분당 570원의 과금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 충전 속도에 따라 요금 부과 방식이 달라질 수 있으므로, 운전자는 충전 시 확인해야 한다. 만약 차량의 충전 속도가 낮을 경우, kWh당 요금보다 분당 요금이 더 큰 비중을 차지할 수 있다.  
       
    • 테슬라 외 다른 전기차 차종이 테슬라 슈퍼차저를 이용할 경우, kWh당 404원 또는 408원의 기본 요금이 부과된다 . 이는 테슬라 차량 소유자보다 높은 요금으로, 테슬라 자체 고객에게 더 많은 혜택을 제공하기 위한 정책으로 보인다.  
       
  • 3.3 추가 비용: 유휴 시간 요금 및 주차 요금:
    • 유휴 시간 요금: 슈퍼차저 스테이션이 50% 이상 사용 중일 때, 충전 완료 후 5분 이상 차량을 이동하지 않으면 분당 500원의 유휴 시간 요금이 부과된다. 스테이션이 100% 사용 중일 경우에는 분당 1,000원으로 요금이 인상된다 . 이는 슈퍼차저의 효율적인 사용을 유도하기 위한 정책으로, 충전이 완료되면 즉시 차량을 이동하는 것이 중요하다.  
       
    • 주차 요금: 일부 슈퍼차저 스테이션은 유료 주차장에 위치하고 있어 충전 시간 외 주차 요금이 발생할 수 있다. 성수 디타워의 경우 10분당 1,000원의 주차 요금이 부과되지만, 20분 이내 회차 시 무료이다 . 여의도 IFC 몰은 최초 30분 무료 주차를 제공하고 이후 10분당 1,000원의 요금이 발생하며, 구매 금액에 따라 주차 시간을 할인받을 수 있다 . 센터필드는 30분 이내 출차 시 주차비가 무료이며, 강남 N 타워는 주말 주차 요금이 1시간당 1,000원이다 . 슈퍼차저 위치 선정 시 주차 요금 발생 여부 및 조건을 확인하여 불필요한 비용 지출을 줄이는 것이 좋다.  
       

서울 지역 공공 전기차 충전소 이용 옵션

서울 지역에는 환경부, 한국전력(KEPCO), GS차지비, 에버온, SK일렉링크 등 다양한 사업자가 운영하는 공공 전기차 충전소가 설치되어 있어 테슬라 모델 3를 포함한 모든 전기차 사용자가 이용할 수 있다 .  

 
  • 4.1 주요 공공 충전 서비스 제공 사업자:
    • 환경부: 전국적으로 가장 많은 충전 인프라를 구축하고 있으며, 비교적 균일한 요금 체계를 제공한다.
    • 한국전력(KEPCO): 공기업으로서 안정적인 서비스를 제공하며, 회원에게 할인 혜택을 제공하기도 한다.
    • GS차지비: GS칼텍스 주유소 및 기타 거점에 충전소를 운영하며, 다양한 멤버십 혜택을 제공한다.
    • 에버온, SK일렉링크 등: 민간 사업자로서 자체적인 요금 정책과 멤버십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 4.2 충전 요금 및 멤버십 혜택:
    • 환경부: 100kW 미만 충전기는 kWh당 약 324.4원, 100kW 이상 충전기는 kWh당 약 347.2원의 요금이 부과된다 . 일부 자료에서는 kWh당 335.8원을 제시하기도 한다 .  
       
    • 한국전력(KEPCO): 회원 요금 기준으로 kWh당 약 255.7원의 충전 요금이 적용될 수 있다 . 비회원의 경우 이보다 높은 요금이 부과될 수 있다. 일부 자료에서는 kWh당 274.55원을 언급하기도 한다 .  
       
    • GS차지비: 회원 기준으로 완속 충전기는 kWh당 295원, 급속 충전기(100kW 이하)는 335원, 급속 충전기(200kW 이상)는 345원의 요금이 적용된다 . 비회원의 경우 kWh당 470원의 높은 요금이 부과된다 .  
       
    • 기타 사업자: 에버온, SK일렉링크 등 다른 사업자들의 충전 요금은 사업자별, 충전 속도별, 멤버십 가입 여부 등에 따라 다양하게 책정되어 있다. 일부 사업자는 멤버십 가입 시 kWh당 200원대의 저렴한 요금을 제공하기도 하지만, 비회원에게는 더 높은 요금을 부과한다 . 또한, 다른 사업자의 충전 카드로 로밍하여 충전할 경우 추가 요금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  
       

테슬라 모델 3 가정용 충전 옵션

서울 거주자 중 단독 주택이나 개인 전용 주차 공간을 가진 경우, 가정용 전기차 충전기를 설치하여 편리하고 저렴하게 테슬라 모델 3를 충전할 수 있다 .  

 
  • 5.1 가정용 충전기 설치 비용:
    • 가정용 충전기 설치 비용은 충전기 종류, 설치 환경, 전력 인입 방식 등에 따라 크게 달라질 수 있다.
    • 충전기 구매 비용: 220V 휴대용 충전기는 약 17만 원에서 18만 원대로 비교적 저렴하게 구매할 수 있지만, 충전 속도가 느리다 . 7kW 완속 충전기의 경우 설치비 포함 약 150만 원 정도의 비용이 발생할 수 있으며 , 11kW 완속 충전기는 제품 가격만 약 85만 원 수준이다 .  
       
    • 한전 시설 부담금: 기존 주택의 전력 용량이 부족하여 충전기 설치를 위해 전력 증설이 필요한 경우, 한국전력에 시설 부담금을 납부해야 한다. 공중 공급 방식 기준으로 5kW까지는 약 30만 원대, 7kW는 약 54만 원대, 11kW는 약 103만 원대의 시설 부담금이 발생할 수 있다 . 지중 공급 방식은 이보다 더 높은 비용이 요구된다 .  
       
  • 5.2 주택용 전기 요금 및 시간대별 요금 혜택:
    • 국내 주택용 전기 요금은 사용량에 따라 누진세가 적용되어, 사용량이 많을수록 kWh당 단가가 높아진다 . 따라서 전기차 충전으로 인해 월 전기 사용량이 증가하면 전체 전기 요금이 크게 늘어날 수 있다.  
       
    • 일부 지역에서는 주택용 계절별·시간대별 선택 요금제를 활용하여 전기차 충전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 이 요금제는 시간대별로 전기 요금이 다르므로, 심야 시간 등 경부하 시간대에 충전하면 비교적 저렴한 요금으로 전기차를 이용할 수 있다. 하지만 주택용 전력에는 적용되지 않는다는 정보도 있어 추가 확인이 필요하다 . 일반적인 주택용 저압 요금 기준으로, 기타 계절에는 200kWh 이하 사용 시 kWh당 120원, 201~400kWh 사용 시 214.6원, 400kWh 초과 시 307.3원의 전력량 요금이 부과된다 . 하계에는 300kWh 이하 120원, 301~450kWh 214.6원, 450kWh 초과 시 307.3원이 적용된다 .  
       

주행 거리별 예상 충전 비용

앞서 분석한 정보를 바탕으로, 테슬라 모델 3의 주행 거리별 예상 충전 비용을 각 충전 방식에 따라 계산해 보았다. 계산의 편의를 위해 RWD 스탠다드 레인지 모델과 롱 레인지 AWD 모델을 기준으로 한다.

  • 6.1 가정:
    • 100km 주행 시 예상 충전량: 스탠다드 레인지 약 14.8kWh, 롱 레인지 약 16.7kWh
    • kWh당 120원 기준: 스탠다드 레인지 약 1,776원, 롱 레인지 약 2,004원
    • 200km 주행 시 예상 충전량: 스탠다드 레인지 약 29.6kWh, 롱 레인지 약 33.4kWh
    • kWh당 120원 기준: 스탠다드 레인지 약 3,552원, 롱 레인지 약 4,008원
    • 300km 주행 시 예상 충전량: 스탠다드 레인지 약 44.4kWh, 롱 레인지 약 50.1kWh
    • kWh당 120원 기준: 스탠다드 레인지 약 5,328원, 롱 레인지 약 6,012원
  • 6.2 한국전력 공공 충전소 (회원):
    • kWh당 255.7원 기준:
      • 100km: 스탠다드 레인지 약 3,784원, 롱 레인지 약 4,279원
      • 200km: 스탠다드 레인지 약 7,569원, 롱 레인지 약 8,558원
      • 300km: 스탠다드 레인지 약 11,353원, 롱 레인지 약 12,838원
  • 6.3 환경부 공공 충전소 (100kW 이상):
    • kWh당 347.2원 기준:
      • 100km: 스탠다드 레인지 약 5,149원, 롱 레인지 약 5,804원
      • 200km: 스탠다드 레인지 약 10,297원, 롱 레인지 약 11,608원
      • 300km: 스탠다드 레인지 약 15,446원, 롱 레인지 약 17,411원
  • 6.4 테슬라 슈퍼차저:
    • kWh당 339원 기준:
      • 100km: 스탠다드 레인지 약 5,017원, 롱 레인지 약 5,661원
      • 200km: 스탠다드 레인지 약 10,034원, 롱 레인지 약 11,323원
      • 300km: 스탠다드 레인지 약 15,052원, 롱 레인지 약 16,984원
  • 6.5 주행 거리별, 충전 방식별 예상 충전 요금 (표):
주행 거리테슬라 모델테슬라 슈퍼차저환경부 공공 충전소한국전력 공공 충전소 (회원)가정 충전 (kWh당 120원)
100 km 스탠다드 레인지 ₩5,017 ₩5,149 ₩3,784 ₩1,776
  롱 레인지 ₩5,661 ₩5,804 ₩4,279 ₩2,004
200 km 스탠다드 레인지 ₩10,034 ₩10,297 ₩7,569 ₩3,552
  롱 레인지 ₩11,323 ₩11,608 ₩8,558 ₩4,008
300 km 스탠다드 레인지 ₩15,052 ₩15,446 ₩11,353 ₩5,328
  롱 레인지 ₩16,984 ₩17,411 ₩12,838 ₩6,012


추가적인 비용 발생 요인

위에서 제시된 충전 요금 외에도 실제 운행 환경에서는 다음과 같은 추가적인 비용 발생 요인을 고려해야 한다.

  • 7.1 충전 시간 및 유휴 시간 요금: 테슬라 슈퍼차저 및 일부 공공 충전소에서는 충전 완료 후 차량을 장시간 방치할 경우 유휴 시간 요금이 부과될 수 있다 . 이는 충전소의 효율적인 사용을 위한 정책이므로, 충전이 완료되면 즉시 차량을 이동하여 불필요한 비용 발생을 막아야 한다. 특히 혼잡한 시간대에는 유휴 시간 요금이 더 큰 부담으로 작용할 수 있다.  
     
  • 7.2 멤버십 및 로밍 요금: 공공 충전 사업자의 할인 혜택을 받기 위해서는 멤버십 가입이 필요할 수 있으며, 멤버십 가입 시 연회비 또는 월 회비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사업자의 충전기를 로밍하여 사용할 경우 추가 요금이 부과될 수 있으므로, 주로 이용하는 충전 사업자의 멤버십을 활용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  
     
  • 7.3 충전 습관 및 효율: 급속 충전을 자주 이용하면 배터리 수명에 미미한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점도 고려할 수 있지만, 일반적인 사용 환경에서는 큰 차이를 보이지 않는다. 중요한 것은 운전 습관이다. 급가속, 급제동을 피하고 정속 주행을 하는 등 효율적인 운전 습관을 통해 에너지 소비를 줄이고 충전 빈도를 낮출 수 있다. 또한, 냉난방 장치 사용을 최소화하는 것도 에너지 효율을 높이는 데 도움이 된다.

 

테슬라 모델 3 소유자 및 구매 예정자는 자신의 주행 패턴과 충전 환경을 고려하여

가장 적합한 충전 방식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하다. 일상적인 시내 주행이 많다면

가정용 충전을 우선적으로 고려하고, 장거리 운행 시에는 테슬라 슈퍼차저 네트워크를 활용하는 것이 효율적이다.

또한, 공공 충전 사업자의 멤버십 혜택을 비교 분석하여 자신에게 유리한 조건을 선택하는 것도

비용 절감에 도움이 될 것이다.

마지막으로, 효율적인 운전 습관을 통해 에너지 소비를 줄이는 노력도 꾸준히 실천해야 한다.

728x90
반응형